티스토리 뷰

영어 간접화법(Indirect Speech)은 직접적으로 인용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말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주로 화자와 청자의 관계를 부드럽게 하거나, 정보를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본 구조, 시제 변화, 지시어 변화, 질문 및 명령 등을 포함하여 일상 대화와 글쓰기에서 어떻게 이를 적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영어 간접화법에서는 원래 발화의 주어와 동사의 시제가 변경됩니다. 예를 들어, 직접화법서 "She said, 'I am tired.'"은 간접화법으로 "She said (that) she was tired."로 변환됩니다. 현재형 동사는 과거형으로 바뀌며, 조동사(win, can, may)는 각각 would, could, might로 바뀝니다. 이러한 변환은 발화 시점에 따라 다르며 상황에 맞추어 적절한 시제를 선택해야 합니다[2].

간접화법에서 지시어도 변환됩니다. "this"는 "that"으로, "here"는 "there"로 변경됩니다. 예를 들어, "He said, 'I will meet you here tomorrow.'"는 "He said (that) he would meet me there the next day."로 변환되어 맥락에서의 시공간적 변화를 반영합니다[2].

질문은 "if"나 "whether"로 시작하며 WH-question은 "what, where, when, why, how" 등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She asked, 'Are you coming?'"는 "She asked if I was coming."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명령문은 "to 부정사"를 사용하여 변환되며, 예를 들어 "He said, 'Close the door.'"는 "He told me to close the door."로 바뀝니다. 이러한 간접화법은 특히 정중한 요청 및 지시의 표현에서 중요합니다[4].

간접화법의 사용은 화용적 고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rosody(운율)는 말 속에서 간접화법의 의미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프랑스어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에서 운율의 변화가 의미 해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3]. 또한, 간접화법 이해는 다양한 청중의 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ADHD 아동의 경우 간접화법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였습니다[1].

영어 간접화법은 단순한 문법적 변환을 넘어 맥락적이고 화용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복잡한 의사소통 기술입니다.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적 지식뿐 아니라, 상황과 대화 상대에 대한 문화적, 사회적 이해도 필요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간접화법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2][3][4].

[1] 이아름, 황민아, & 고선희. (2020).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간접 화행 이해 특성. 특수교육논총, 36(1), 237-249.
[2] 노은주. (2021). 한국어 전달문의 혼합유형에 관한 몇 가지 관찰- 자유간접화법과 내포직접화법을 중심으로. 담화와 인지, 28(2), 75-98.
[3] Ruytenbeek, N., & Trott, S. (2022). Prosody and speech act interpretation: The case of French indirect requests. Journal of French Language Studies.
[4] Fadilah, T., & Pane, I. (2020). INDIRECT SPEECH ACTS IN TOBA DREAM MOVIE. Lingüística, 8, 220.

공지사항